반응형 의료관련감염37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NIS)의 설립 및 발전 과정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NIS) 의 설립 및 발전 과정 의료관련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료관련감염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런 노력의 첫 출발점은 전국적인 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감시지표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2006년부터 시작된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가 현재 총 6개의 모듈로 운영 중이다. 개별 의료기관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는 KONIS 에서는 해당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을 전국적인 전체 발생률과 비교할 수 있다. 자원과 역량이 제한적일 수 밖.. 2024. 5. 28. 감염예방관리료 신설과 인력기준 구체화 감염예방관리료 신설과 인력기준 구체화(2015~2019) 1. 감염예방관리료 신설 2015년 5월 2일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1번 환자가 최초 확진되면서 약 6개우러간 186명의 확진환자가 발생하고 38명이 사망하였다. 2015년 7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제13392호, 2015.7.6. 공포 및 시행)⌟개정이 있었다. 위험성이 높은 감염병의 국내 유입‧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역 현장의 공무원에게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하고 신속‧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감염병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2015년 11월 의원에서 주사기 재사용으로 18명의 C형 간염바이러스 집단발생이 있었다는 질병.. 2024. 5. 27. 병원감염관리 준칙과 감염대책 위원회와 감염관리실 설치 우리나라 병원감염관리 준칙과 감염대책 위원회와 감염관리실 설치 Ⅰ. 우리나라 병원감염관리 준칙 이전 시기 병원감염관리 준칙이 발표되기 전에 감염관리와 관련된 내용은 1973년 개정 ⌜의료법⌟상 제17조 의료행위에 따라 신체로부터 적출되거나 절단된 사태아 장기 기타 모든 물체 처리에 대한 규정에서 살펴볼 수 있다. 1981년 ⌜적출물 등 처리규칙⌟이 제정되고 1985년에 좀 더 구체적으로 환자의 피고름이 묻은 탈지면 등의 물체가 적출물에 포함되었다. 1988년 일회용 주사기 및 수액세트로 이 규정에 포함되어 한국자원재생공사에 위탁하거나 소각처리하도록 규정하였다. 1993년 개정되면서 일회용 주사기나 수액세트의 재활용 금지 규정이 포함되었다. 1994년 ⌜의료기관세탁물 관리규칙⌟이 제정되어 오염세탁물을 증.. 2024. 5. 27. 우리나라 감염관리 법령의 변천과 미래 우리나라 감염관리 법령의 변천과 미래 감염예방과 관리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기관 종사자 모두를 감염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매우 실제적인 분야이지만 환자치료와 직접 연관된 행위만을 살펴볼 때는 그 필요성이 쉽게 눈에 드러나지 않는다. 감염학계에서는 오래전부터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역설하였지만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제도적 뒷받침이 시작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법이 만들어지면 현장이 변한다. 또 변화하는 현장은 오래된 법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에 국내에서 감염관리와 관련된 법이 어떤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변천하여 왔는지 살펴보고 향후 제도적 변화의 필요성에 기본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1. 의료관련감염 법령의 변천 의료관련감염 또는 감염관리와 관련된 법령 제정의 시작은 1970년대부터로 볼 수 있다. 그.. 2024. 5. 27. 이전 1 ···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