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리주의 종류와 방법 :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
격리의 방법은 표준주의와 전파경로별 주의로 나뉜다. 표준주의는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혈액이 섞이지 않은 땀 제외), 손상된 피부와 젖ㅁ막을 다룰 때 적용한다. 전파경로별 주의는 표준주의와 함게 미생물의 전파경로에 따라 전파 차단을 목적으로 전파경로별 주의를 함께 적용하는 것으로 전염력이 강하거나 역학적으로 중요한 병원에체 감염 또는 집락된 것이 확인, 의심되는 환자에게 적용한다. 전파경로별 주의는 전파경로에 따라 공기주의, 비말주의, 접촉 주의로 나뉘어 볼 수 있다. 각 격리지침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하여 전파되는 질환에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어떤 질환이라도 표준주의와 함께 적용한다.
표준주의
표준주의는 감염원으로 인지하거나 인지하지 못한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본적인 전략으로 환자, 직원, 방문객, 환경 간에 미생물의 전파를 막기 위한 첫 번째 방어선이라 할 수 있는 격리방법이다. 환자의 진단명이나 감염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환자의 혈액과 체액(땀 제외), 분비물, 배설물, 점막, 손상된 피부를 감염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다루어야 한다.
1) 손위생
손위생은 환자, 직원, 방문객, 환경 간에 미생물 전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손위생은 상황에 따라 물과 비누를 이용하거나 알코올젤을 이용할 수 있으며 WHO에서 제시한 손위생이 필요한 다섯 가지 시점(환자 접촉 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노출 위험 행위 후, 환자 접촉 후,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에 손위생을 시행한다.
2) 개인보호구
개인보호구는 감염성 물질과 접촉할 때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 피부, 점막, 의복 등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다. 노출 예상 수준에 따라 위험도를 평가하여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선택하며 필요한 보호 수준에 따라 마스크, 가운, 보호안경, 장갑 등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사용한다. 의복이나 피부의 오염 빈도와 부위를 평가하기 위해 형광물질을 이용한 실험을 시행한 연구결과에서는 의료기관 종사자의 46%에서 피부나 의복에 오염이 발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가운보다 장갑(52.9% vs. 37.6%, p=0.002)에서 오염이 더 발생하였으며, 장갑이나 가운을 탈의하는 동안 부주의가 관찰된 사례 중 70%가 오염이 보고되었지만, 부주의가 관찰되지 않은 사례에서도 30%가 오염이 발생하였다. 보호구를 올바르게 착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보호구를 벗을 때 의복이나 피부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하여 벗는 것이 중요하다.
(1) 장갑
무균시술을 할 때는 멸균장갑을 착용한다. 혈액이나 체액에 오염된 기구, 점막, 손상된 피부, 환자의 체액이나 분비물을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등은 장갑을 착용한다. 한 환자에서 오염된 부위를 접촉 후 깨끗한 부위를 접촉 하기 전 장갑을 교체하며, 한 환자와 접촉한 후 다른 환자를 접촉 할 때 장갑을 교체한다. 장갑을 제거할 때는 손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제거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2) 가운
혈액, 체액, 분비물, 삼출물과 접촉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업무에 적합한 가운을 착용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의복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며, 처치 후 환자를 떠날 때는 가운을 벗는 과정에서 의복과 주변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며 제거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가운은 재사용하지 않으며 동일한 환자를 반복해서 접촉할 경우라 하더라도 재사용 하지 않는다. 고위험 부서(예: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 조혈모세포이식실)로 들어갈 때 가운을 일상적으로 착용하는 것을 권고하지는 않으며 필요할 때 착용한다.
(3) 눈, 코, 입의 보호
눈, 코, 입의 점막에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등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마스크, 고글, 안면보호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감염을 의심하지 않더라도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처치(예: 기관지 내시경, 호흡기계 흡인, 기관내 삽관)를 할 경우 눈, 코, 입의 점막을 보호할 수 있는 얼굴 전면과 측면을 완전히 덮는 안면보호구, 쉴드가 부착된 마스크 또는 마스크와 고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착용한다. 마스크는 코, 입, 턱을 모두 덮도록 하고 마스크 상단 와이어를 콧대 위에 맞추도록 한다. N95(동급)마스크는 착용할 때마다 안면부의 누출 여부(user seal test)를 확인한다. 마스크의 앞면은 오염으로 간주하고 손으로 만지지 않으며 마스크 제거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
3) 호흡기 예절
호흡기감염 증상이 있는 경우 감염전파 예방을 위해 호흡기 분비물 관리가 필요하다. 환자, 직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호흡기 질환의 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기침과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 시 어ᄄᅠᇂ게 해야 하는지 호흡기예절을 포스터 등을 통해 알리도록 한다. 지역사회에서 호흡기감염병이 유행할 때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나 방문객은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호흡기 증상 환자를 위한 분리된 장소를 제공하거나 대기실에서 다른 환자들과 적어도 90cm(3ft)이상 떨어지도록 한다.
(1)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사용한 휴지는 가능한 바로 비접촉식 휴지통에 버리고, 휴지가 없다면 소매를 이용하도록 한다.
(2)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고개를 돌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도록 한다.
(3) 기침이나 재채기 후에는 손위생을 시행한다.
4) 환자배치
다른 환자들에게 감염을 전파할 위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 감염 가능성을 고려하여 가능한 격리실에 배치한다. 격리실이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여 환자를 배치한다.
(1) 가능한 감염 전파경로
(2) 추가 주의 조치가 필요한 감염 유무
(3) 환경오염 정도와 주의 조치를 지키기 어려운 상태의 정도
(4) 분비물 또는 배설물의 조절 가능 유무
(5) 다른 환자에게 전파될 경우 파급 효과의 크기
(6) 병실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
5) 환자치료기구 및 물품
혈액이나 체액으로 오염될 수 있는 치료기구 및 물품 관리에 대한 지침과 정책을 수립하며 오염된 기구 및 물품을 취급할 때 예상되는 오염 수준에 따라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환자치료기구 및 물품은 사용 목적과 재질에 따라 적절한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멸균물품은 사용하기 직전까지 멸균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보관 시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6) 환경관리
환경 표면과 물품, 기구 등을 잘 청소하고 소독하는 것은 미생물 전파 예방에 매우 중요하므로 환자의 접촉 수준과 오염 정도에 따라 환경 청소 지침과 정책 수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환자 주변 환경(예:침상 난간, 상두대 등)과 환자가 자주 접촉하는 표면(예: 문손잡이, 환자 병실 내 화장실 등)은 다른 환경 표면보다 더 자주 청소하고 소독한다. 환경소독 시에는 환경을 주로 오염시키는 병원균을 죽일 수 있는 공인된 소독제를 사용한다.
7) 안전주사실무
멸균된 주사용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균술을 준수한다. 주사바늘과 캐뉼라, 주사기는 멸균된 제품으로 한번만 사용해야 한다. 주사기를 교환하지 않고 주사바늘과 캐뉼라만 교환한 채 여러 환자에게 사용하면 안된다. 수액백/수액병과 수액주입세트는 한 환자에게만 사용하고 사용 후 적절히 폐기한다. 주사기나 주사바늘을 환자의 수액백 또는 주입세트에 연결하였다면, 해당 주사기나 주사바늘은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여 재사용하면 안된다. 앰플과 바이알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약물을 뽑아낼 때 앰플의 절단될 부위와 바이알의 고무마개를 알코올로 소독한 후 주사 바늘을 삽입하여 약물을 뽑아낸다. 혈관에 연결된 주사기구의 주사포트, 카테터 허브 및 바늘 없는 주사커넥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전후에 포트를 알코올 또는 클로르헦시딘/알코올, 포비돈 소독제로 충분한 시간 동안(3-15초) 철저히 소독하고, 주입 전 충분히 건조시킨다. 가능하면 일회용량의 바이알(single-dose vial)을 사용한다. 일회용량 바이알은 한 환자에게만 사용하고 남은 약물은 폐기한다. 일회용량은 바이알을 여러 환자에게 투여하거나 다음에 사용하기 위해 남은 약을 모아 놓지 않는다. 만약, 다회용량바이알(multi dose vial)을 사용해야 한다면 주사기, 주사바늘과 캐뉼라는 멸균된 것을 사용하며 다회용량 바이알의 멸균 상태가 의심되거나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즉시 폐기한다. 가능한 관류 용액은 일회용을 사용하도록 하며 수액백이나 수액병에서 수액을 뽑아 여러 환자에게 관류용으로 사용하면 안 된다.
8) 세탁물
환경 표면, 공기, 사람들에게 오염되지 않도록 최소한으로 조작하며, 세탁물 슈트(chute)를 이용하는 경우 오염된 세탁물로부터 에어로졸이 최소한 퍼지도록 설계된 제품을 이용한다.
9) 요추천자 시술
요추천자 시술(예: 척수조영술, 요추천자, 척수 혹은 경막외마취)을 할 경우 시술자의 구강인두상재균에 의한 뇌수막염을 예방하기 위해 시술자는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한다.
10) 직원 안전
주사바늘과 같은 날카로운 기구를 사용할 경우 손상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주사바늘을 폐기할 때는 뚜껑을 다시 씌우지 않으며 바늘을 구부리거나 부러뜨리지 않도록 하며, 사용 후 즉시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의료관련감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관카테터감염의 임상증상과 예방전략 (0) | 2024.06.25 |
---|---|
혈관카테터 감염의 발병 기전과 역학 (0) | 2024.06.25 |
안전주사실무와 의료기관 혈액매개감염 사례 (0) | 2024.06.18 |
침습 수막알균 감염증의 역학과 임상증상 그리고 치료 (0) | 2024.06.16 |
침습 수막알균 감염증의 특성과 발생 위험인자, 진단 (0) | 2024.06.16 |